【 청년일보 】 세계 2위 자동차 제조사 혼다와 지주회사 방식의 통합을 모색해온 닛산자동차가 협상 중단을 결정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5일 보도했다. 협상 중단의 배경으로는 혼다 측이 닛산의 자회사화를 추진하자 닛산 측이 반발, 갈등의 골이 깊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닛산은 작년 12월 공식 개시한 혼다와 경영통합 협상 과정에서 통합 조건을 둘러싼 이견이 좁혀지지 않자 경영통합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철회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로써 양사 간 통합 협상은 일단 중단된다. 다만 닛산은 향후 협상 재개 여부 등에 대해 추후 검토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일본 2위와 3위 자동차 제조사인 혼다와 닛산은 작년 12월 각각 이사회를 열고 오는 2026년 8월 설립할 지주회사 산하에 각각 들어가는 형태로 경영 통합을 추진하기로 했으나 협상 과정에서 서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경영 통합 방향성 발표도 애초 1월 말에서 2월 중순으로 연기되는 등 협상이 늦어지자 감원 등 구조조정을 추진 중인 닛산의 경영 합리화 대책에 혼다가 이견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특히 혼다가 협상 과정에서 애초 협상 개시 전 공유한 방향과 달리 닛산을 자회사화하는
【 청년일보 】 서울 서초구 신반포 4차 재건축사업 시공자 선정 입찰이 삼성물산의 단독입찰로 끝내 유찰됐다. 내심 경쟁수주를 기대했던 조합 측은 아쉬운 결과라며 조만간 재입찰 공고를 게시하겠다는 방침이다. 5일 신반포4차 재건축조합(이하 조합)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시공사 선정을 마감한 결과 삼성물산이 단독으로 응찰, 끝내 유찰됐다. 정상선 조합장은 "내심 경쟁수주를 기대했는데 삼성물산만 입찰에 참여했다"며 "경쟁수주를 기대했으나 이러한 결과가 나와 아쉽고 조만간 재입찰 공고를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신반포4차 조합이 지난해 12월 20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현장설명회를 개최했을 당시엔 삼성물산, 진흥기업, 포스코이앤씨, 대우건설, 금호건설, HDC현대산업개발 6곳이 참석한 바 있다. 이 단지는 지하철 3·7·9호선 고속터미널역과 매우 인접하고 신세계백화점과 뉴코아아울렛 등 인프라 접근성도 뛰어나 업계에서 우수한 입지로 평가받아 왔다. 지난 1979년 준공된 신반포4차는 현재 12개동 1천212세대로, 재건축을 통해 지하3~지상49층 아파트 12개동 1천818세대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한편, 신반포4차 조합이 제시한 예정 공사비는 1조310억4천6
【 청년일보 】 한국수입자동차협회(이하 KAIDA)는 1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가 1만5천229대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월인 2024년 12월 대비 35.3% 감소, 전년 동월인 2024년 1월 대비 16.4% 증가한 수치다. BMW는 벤츠와의 격차를 2천대 이상으로 늘리며 브랜드별 등록대수에서 지난달에 이어 1위를 유지했다. 세부적으로 1월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BMW 5천960대, 메르세데스-벤츠 3천790대, 렉서스 1천126대, 볼보 1천33대, 포르쉐 644대, 토요타 430대, 포드 366대, 랜드로버 325대, 아우디 320대 등의 순이다. 배기량별 등록대수는 2천cc 미만 8천325대(54.7%), 2천cc~3천cc 미만 5천218대(34.3%), 3천cc~4천cc 미만 687대(4.5%), 4천cc 이상 364대(2.4%), 기타(전기차) 635대(4.2%)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유럽 1만2천697대(83.4%), 일본 1천733대(11.4%), 미국 799대(5.2%) 순이었고 연료별로는 하이브리드 1만1천551대(75.8%), 가솔린 2천834대(18.6%), 전기 635대(4.2%), 디젤 209대(1.4%) 순이었다. 구매
【 청년일보 】 GS건설은 5일 공정 공시를 통해 매출 12조8천638억원, 영업이익 2천862억원, 신규수주 19조9천100억원의 2024년 경영실적(잠정)을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4.3%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흑자전환을 기록했다. 특히, 미래의 매출 성장세를 가늠하는 신규수주는 전년 대비 95.5% 증가한 19조 9천100억원을 기록하며 지난 2022년 신규수주 16조740억원을 넘어서며 창사이래 최대를 기록했다. 사업본부별 매출을 살펴보면 건축주택사업본부가 지난해 10조2천371억원에서 9조5천109억원으로 7.1% 감소했고, 인프라사업본부는 지난해 1조1천41억원에서 1조1천535억원으로 4.5% 증가했다. 플랜트사업본부는 지난해 3천4억원에서 4, 257억원으로 41.7% 증가했다. 지난해 신규수주는 건축주택사업본부에서 부산 부곡2구역 주택재개발사업(6천439억원), 청량리 제6구역 주택재개발사업(4천869억원), 플랜트사업본부에서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증설 프로그램 패키지2번 (1조6천39억원), 동북아 LNG Hub 터미널1단계 프로젝트(5천879억), 인프라사업본부 호주 SRL East 지하철 터널 프로젝트(5천205억원
【 청년일보 】 미분양 주택이 5개월 만에 다시 7만가구대로 불어났다. 수도권과 지방 모두 미분양이 증가했다. 이 중 다 짓고도 분양하지 못한 악성 미분양이 2만1천여가구다. 악성 미분양이 2만가구를 넘어선 건 10년 5개월만에 처음이다. 국토교통부가 5일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173가구로 집계됐다. 미분양은 지난해 6월 7만4천37가구까지 늘었으나 7월 7만1천822가구로 감소한 뒤 5개월 연속 줄어드는 추세였다. 그러다 지난해 12월 한 달 만에 5천27가구(7.7%)가 훌쩍 늘었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6천997가구로 전월보다 17.3%(2천503가구) 늘었고, 지방은 5만3천176가구로 5.0%(2천524가구) 증가했다. 수도권 미분양 대부분은 경기도에서 나왔다. 경기도 미분양은 2천433가구 증가한 1만2천954가구였다. 지방에서는 울산에서 대거 미분양이 발생했다. 울산 미분양은 1천420가구 늘어난 4천131가구, 대구 미분양은 632가구 증가한 8천807가구다. 전국에서 미분양 주택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이며 대구, 경북(6천987가구), 경남(5천347가구), 부산(4천720가구)
【 청년일보 】 설 연휴 이후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신차 라인업이 속속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신형 전기차들이 고금리 여파로 위축됐던 자동차 내수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5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지난 3일부터 전동화 대형 SUV ‘아이오닉 9’의 사전 계약을 시작했다. 아이오닉 9은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플래그십 모델로, E-GMP 기반 동급 최대 휠베이스를 통해 실내 공간을 극대화했으며 110.3kWh 배터리 탑재로 전 모델 1회 충전 주행 가능거리가 500km 이상이다. 아이오닉 9은 항속형과 성능형 모델이 있으며, 후륜 모터 기반 항속형 2WD 모델은 최고 출력 160kW, 최대 토크 350Nm, 전비 4.3km/kWh, 1회 충전 주행 가능거리는 532km로 나타났다. 항속형 AWD 모델은 최고 출력 226kW, 최대 토크 605Nm, 전비 4.1km/kWh, 1회 충전 주행 가능거리 503km이며, 성능형 AWD 모델은 최고 출력 315kW, 최대 토크 700Nm, 전비 4.1km/kWh, 1회 충전 주행 가능거리가 501km다. 또한 현대차는 아이오닉 9에 400·800V 멀티 초고속 충전 시스템을
【 청년일보 】 지방 부동산 시장 침체로 지난해 전국 분양 물량 중 지방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에도 못미친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4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부동산R114랩스 자료를 토대로 연도별 분양물량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에서 분양한 16만373가구 가운데 지방 물량은 7만5천668가구(47.2%)로 절반에 못 미쳤다. 이는 지난 2022년과 2023년에 비해 각각 13.3%포인트, 1.6%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2010년(45.7%) 이후 가장 낮은 비중이다. 지방 분양 비중은 한때 70%를 웃돌았다. 지난 2011년 전체 분양한 17만7천822가구 가운데 지방 물량은 70%에 해당하는 12만4천467가구였으며 2012년에도 18만7천683가구 중 13만5천644가구(72.3%)가 지방에 공급됐다. 이후 지난 2013년 58.0%, 2014년 65.5%, 2015년 49.8%, 2016년 52.8%, 2017년 52.7%, 2018년 51.9%, 2019년 48.1%, 2020년 50.4%, 2021년 56.8%, 2022년 60.5% 등으로 이전보다는 줄었으나 대부분 절반 이상을 유지했다. 그러나 지난 2023년 48.8%로 감소
【 청년일보 】 대우건설은 이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서 '블랑 써밋 74' 오피스텔을 분양할 예정이라고 4일 밝혔다. '블랑 써밋 74'는 대우건설의 하이엔드 주거브랜드인 '푸르지오 써밋'이 적용된 초고층 단지로 아파트 3개 동과 오피스텔 1동으로 구성된다. 대우건설은 지하 5층~지상 최고 69층, 3개 동 전용면적 94~247㎡ 아파트 998세대를 지난해 분양했고, 이달 전용면적 84~118㎡ 오피스텔 1개 동 276실을 공급한다. 특히 블랑 써밋 74 오피스텔은 각종 개발로 부산의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북항 일대에 들어선다. 부산 북항 재개발 사업은 부산을 해양레저, 문화, 상업, 업무 등이 융합된 글로벌 관광도시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진행 중인 대규모 프로젝트다. 1단계 사업은 기반시설 공사를 마치고 2단계 사업이 본격화되었으며, 자성대부두와 양곡부두 등 항만 재개발과 함께 부산역 철도 재배치, 원도심 연계 개발이 포함되어 있다. 미군 55보급창 이전 계획도 있어 원도심을 되살리는 작업이 착실하게 진행될 예정이다. 오피스텔은 부산도시철도 1호선 좌천역과 범일역, 2호선 문현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 1호선 좌천역을 이용하면 K
【 청년일보 】 현대건설이 건설환경공학 분야 국내 최고 석학을 기술연구원장으로 영입하고, 건설산업 패러다임 전환에 속도를 높인다. 현대건설은 지난 3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29년간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로 재직한 김재영 연구부총장을 기술연구원의 새로운 수장으로 전격 영입했다고 4일 밝혔다. 김재영 신임 기술연구원장은 서울대 토목공학과(도시공학 전공)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박사를 취득한 후 지난 1996년부터 서울대학교 교수로 역임해왔다. 주요 연구 분야는 자원 순환·순환경제·기후 위기·스마트시티 등으로, 폐자원 에너지화·온실가스 인벤토리· 바이오가스 분야에 혁신적 성과를 인정받고 있는 국내 최고 전문가다. 특히 ▲대한토목학회 부회장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회장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원장 ▲서울대 연구부총장 겸 산학협력단장 등을 통해 얻은 폭넓은 기술 이해도와 국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현대건설의 미래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산학연 혁신생태계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대건설은 자원순환형 에너지, 차세대 융합기술 같은 건설 트렌
【 청년일보 】 국내 건설업 침체가 이어지며 지난해 4분기 건설 실적이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선행지표인 건설 수주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실제 공사에 반영되는 시차를 고려하면 올해에도 건설 불황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건설기성액(불변)은 30조4천492억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보다 10.1% 감소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지난 2008년(-15.3%) 이후 같은 4분기 기준 16년 만에 가장 큰 감소율이다. 전체 분기를 통틀어서도 2011년 1분기(-11.1%) 이후 감소율이 가장 높았다. 건설기성은 지난해 1분기 4.1% 증가한 이후 2분기(-3.0%)와 3분기(-9.6%)에 이어 3개 분기 연속 감소 중이다. 전분기 대비로도 3분기째 감소하는 흐름이다. 공사 종류별로 보면 지난해 4분기 건축은 11.4% 감소했고, 토목도 6.7% 줄었다. 건설은 3분기 연속 감소, 토목은 2023년 2분기 이후 6개 분기 만에 감소 전환이다. 4분기 건설업 침체의 골이 깊어지면서 연간 건설기성도 전년보다 4.9% 줄었다. 지난 2021년(-6.7%) 이후 최대 폭 감소
【 청년일보 】 지난 2022년 1월 27일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대재해법) 시행 이후 3년차인 지난해까지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발생한 인적 피해가 매년 증가추세로 나타나면서 해당 법에 대한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노동계는 처벌을 제대로 하지 않은 탓에 노동자 사망 등 피해가 줄어들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반면, 경영계에선 예방보다는 처벌에 초점이 맞춰진 중대재해법의 적용과 해석에 허점이 많다는 주장을 이어가 양측의 입장차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사고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4일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에 따르면 중대재해법이 시행된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인적 피해는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 2022년 인적 피해건수는 떨어짐·넘어짐·물체체 맞음 등 총 4만5천654건이었으나, 2023년 이 수치는 4만9천974건으로 늘었고 지난해엔 6만3천149건으로 대폭 증가했다. 아울러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시공능력 상위 20위 건설사의 공사 현
【 청년일보 】 CJ대한통운이 '매일 오네' 서비스 론칭을 기념해 통합 배송브랜드 '오네(O-NE)'의 브랜드 캠페인 '매일매일 오네(O-NE)'를 진행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매일 오네(O-NE)' 서비스가 소비자들의 일상과 이커머스 기업의 비즈니스에 가져올 긍정적인 변화를 조명하는 동시에, 배송 품질을 보증하는 선도 브랜드로 이미지를 확고히 하기 위한 목적이다. 캠페인은 여러 고객사들과 동반성장할 수 있는 프로모션 및 소비자들의 색다른 경험을 위한 다양한 이벤트로 구성되며, 오네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캠페인 영상도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공개된다. 먼저 CJ대한통운은 '매일매일 오네' 캠페인의 일환으로 주요 이커머스 고객사와 협력해 공동 기획전을 펼친다. 국내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에 '오네 전용관' 기획전을 열고, 소비자들이 CJ대한통운 '오네'로 빠르고 안전하게 배송되는 상품을 한눈에 확인하고 손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할 예정이다. 또한 상품을 구매한 고객 대상으로 경품 증정 이벤트도 함께 진행해 고객들에게 특별하고 즐거운 쇼핑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고객사와의 동반 성장을 위해 '오네 픽(Pick)' 협업 마케팅 프로그램도 추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