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CI. [사진=현대자동차]](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1042/art_17604858108688_590df9.jpg)
【 청년일보 】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율이 25%를 적용받고 있는 가운데, 이대로 유지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이 연간 8조원을 웃돌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15일 나이스신용평가의 자동차 산업점검에 따르면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율이 한국이 25%, 유럽연합(EU)과 일본은 15%로 적용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은 8조4천억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글로벌 완성차업체(OEM) 톱 4로 함께 꼽히는 도요타(6조2천억원), GM(7조원), 폭스바겐(4조6천억원)을 모두 웃도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의 연간 영업이익률은 기존 9.7%에서 6.3%로 하락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한국 자동차도 일본, EU처럼 대미 관세율 15%를 적용받게 된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은 5조3천억원으로 줄어들고 영업이익률은 7.5%를 기록할 전망이다.
만약 한국이 지난 7월 미국과 합의했던 관세 인하 방안이 무산된다면 현대차그룹이 부담하는 비용은 3조1천억원 늘어나는 셈이다.
보고서는 "현대차그룹은 우수한 수익성과 재무적 융통성을 바탕으로 관세 부담을 일정 수준 대응하는 것은 가능할 전망이지만, 주요 경쟁사가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율을 기반으로 가격 인하 전략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경우 미국 내 경쟁 구도가 변동될 위험이 상존한다"고 우려했다.
특히 내년엔 미국 자동차 시장이 상대적으로 침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세율 인하가 더 긴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올해는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 우려로 자동차 수요가 일시적으로 촉진됐으나 향후 이러한 경향이 줄어들면 전체 판매 실적이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주요 시장의 판매실적 저하로 인센티브 지급액이 현 수준 대비 확대될 경우 자동차 회사들의 추가적인 수익성 하락은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한편, 미국은 앞서 한국과 합의를 통해 수입산 자동차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했지만 행정명령 발표가 미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