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년일보 】 한국은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에 육박하며, 2025년이면 초고령사회로의 전환이 확실시된다. 이 거대한 인구 구조의 변화 속에서, 노인의 삶을 지탱하고 있는 가장 핵심적인 인력이 있다. 바로 요양보호사다.
요양보호사는 단순히 일상생활을 돕는 사람을 넘어선다. 그들은 노인의 식사와 위생, 약 복용과 운동 보조는 물론 정서적 교감까지 책임지며, 삶의 마지막 순간을 함께하는 유일한 타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치매나 중증 질환을 앓는 노인들에게 요양보호사의 존재는 곧 '삶의 질' 자체다. 이런 이유로 요양보호사는 고령사회 돌봄의 최전선에 서 있는 필수 직군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의 처우는 여전히 열악하다. 평균 임금은 최저임금 수준에 불과하고, 근무 환경도 개선되지 않은 채 방치되어 있다. 육체적 피로는 물론, 정서적 소진(burnout)까지 호소하는 요양보호사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제도적 보호 장치는 부족하기만 하다. 감정노동과 폭언·폭행에 노출된 채, '누군가의 부모'를 돌보는 그들의 노동은 아직도 사회적으로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인력 부족으로 인해 한 명의 요양보호사가 10명 이상을 돌보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그마저도 계약직이나 파트타임 형태가 많아 고용 안정성도 떨어진다. 이로 인해 숙련된 인력이 이탈하고, 그 공백을 채우기 위해 또다시 새로운 비숙련 인력이 투입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는 곧 요양 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지며, 피해는 결국 돌봄을 받아야 할 노인에게 돌아간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노인복지 강화', '돌봄서비스 확충'을 이야기하지만, 정작 그 중심축인 요양보호사에 대한 체계적인 처우 개선은 여전히 뒷전이다. 일회성 수당 지급이나 단기 교육 확대만으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보다 근본적인 임금 인상, 근무 여건 개선, 정규직 확대, 감정노동 보호 장치 마련 등 전방위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고령화는 더 이상 미래의 일이 아니다. 이미 현재이며, 앞으로 더욱 심화될 불가피한 현실이다. 그 속에서 요양보호사는 단순한 노동자가 아닌, 사회의 돌봄 인프라를 구성하는 핵심 자원이다. 이들이 떠나면, 노인의 삶도, 가족의 부담도, 국가의 복지도 모두 흔들릴 수밖에 없다.
이제는 말뿐인 감사가 아니라 실질적인 대우로 답할 때다. '효도는 개인의 몫'이 아니라 '국가의 시스템'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요양보호사의 처우 개선은 단지 노동 환경의 개선이 아니라, 고령사회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투자이자 가장 시급한 과제다.
더는 미뤄선 안 된다. 요양보호사가 존중받는 사회야말로, 진정한 고령사회 복지국가의 시작이다.
글 / 장석영 (주)효벤트 대표
동탄 재활요양원 대표
효벤트 (창업 요양원/창업 주간보호센터) 대표
효벤트 웰스 대표
김포대학교 사회복지전공 외래교수
숭실사이버대학교 요양복지학과 외래교수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치매케어 강사
사회복지연구소 인권 강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노년학 박사과정
경기도 촉탁의사협의체 위원
치매케어학회 이사
대한치매협회 화성지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