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지난해 1000대 상장사 매출 2천조 육박…삼성전자, 23년째 매출 1위

CXO연구소, 29년 간 1000대기업 매출 변동 현황 분석

 

【 청년일보 】 지난해 국내 1천대 상장사의 매출 규모는 1천997조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특히 삼성전자는 지난 2002년부터 2024년까지 23년 연속으로 국내 기업 매출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1996년~2024년 사이 29년 간 국내 1000대 상장사 매출 현황 분석'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년 전인 지난 2023년 1천863조원과 비교하면 1천대 기업 매출 외형은 1년 새 134조원(7.2%) 정도 상승했다. 

 

지난해 매출과 관련해 가장 돋보인 기업은 삼성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별도 기준 매출은 209조 522억원 수준이었다. 지난 2022년 211조 8천674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매출 외형이다. 

 

연결 기준 매출로 살펴보더라도 지난해 300조 8천709억원으로 300조원대 수준을 기록했지만, 지난 2022년 기록한 302조 2천313억원을 넘어서지는 못했다.

 

삼성전자를 포함해 지난해 기준 1천대 기업 중 매출 1조원이 넘는 '매출 1조 클럽'에는 248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258곳)→2023년(250곳)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지난 2022년 이후 매출 1조 클럽에 가입한 기업 숫자는 줄어들고 있는 모양새다. 

 

대표적으로 에코프로비엠은 지난 2023년만 해도 3조원대 매출을 기록하며 매출 100위권에도 이름을 올렸지만, 지난해엔 6천900억원대를 기록하며 300위권대로 순위가 밀려났다. 

 

반대로 넷마블은 지난 2023년 별도 기준 매출이 7천900억원 수준이었는데 지난해엔 1조 824억원으로 다시 1조 클럽에 재가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넷마블은 지난 2018년에 처음 1조 클럽에 가입해 2021년까지 1조 클럽을 유지해오다 2022년과 2023년에 매출 1조원 밑으로 떨어졌었다.

 

지난해 별도 기준으로 매출 1조 클럽에 역대 처음으로 이름을 올린 곳에는 ▲경동나비엔(1조 2천468억원) ▲DN오토모티브(1조 1천6억원) ▲NHN KCP(1조 905억원) ▲한국콜마(1조 596억원)가 포함됐다.

 

지난해 매출 1조 클럽에 가입한 248곳 중에서도 2023년 대비 2024년 매출이 1조원 넘게 증가한 곳은 19곳으로 조사됐다. 19곳 중에서도 2곳은 1년 새 매출이 10조원 넘게 크게 증가했다. 

 

여기에는 삼성전자(38조 6천781억원)와 SK하이닉스(28조 962억원) 2곳이 포함됐다. 앞서 두 회사 중 2023년 대비 2024년 매출 증가율로 보면 SK하이닉스가 101.7%로 폭풍 성장했고, 삼성전자도 22.7% 수준으로 매출이 증가세를 보였다.

 

이외 ▲한국전력공사(5조 8천209억원) ▲LG디스플레이(5조 3천676억원) ▲기아(4조 7천367억원) ▲한화오션(3조 3천387억원) ▲기업은행(3조 3천29억원) ▲HMM(3조 2천830억원) 등도 최근 1년 새 별도 기준 매출액이 3조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14곳은 매출 외형이 1조원 이상 감소했다. 대표적으로 한국가스공사는 2023년 42조 8천325억원이던 매출이 2024년에는 36조 5천514억원으로 낮아지며 1년 새 6조원 넘게 매출이 하락했다. 

 

여기에 ▲LG에너지솔루션(4조 3천618억원) ▲삼성SDI(3조 85억원)는 3조원 이상 매출 외형이 쪼그라든 것으로 조사됐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