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현지 시장 점유율 타격 우려"…트럼프 관세 리스크에 삼성 '진땀'

트럼프, 해외 생산 스마트폰 25% 관세 부과 방침 시사

 

【 청년일보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3일(현지시각) 미국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이 해외에서 생산될 경우 최소 25% 관세를 내야 한다고 발표함에 따라, 삼성전자가 깊은 고민에 빠진 모습이다.  관세로를 이유로 미국에서 스마트폰 가격을 인상할 경우, 현지 시장 점유율에 직격탄이 가해질 수 있어서다. 

 

27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미국의 관세 부과 진행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스마트폰 판매 전략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중국에서 생산한 제품이 미국에 반입될 때, 최대 14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으나, 지난달 그 대상에서 스마트폰과 PC 등 IT 기기를 제외했다.

 

이에 IT업계는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지만, 불과 얼마 지나지 않아 25%의 품목별 관세라는 또 다른 벽 앞에 서야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피하려면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라는 주장이지만, 이는 말처럼 쉽지 않다는 것이 업계의 입장이다.

 

현재 애플은 아이폰 생산량의 90%를 중국에서 생산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중국이 아닌 인도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방안에 대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말대로 미국으로 생산거점을 옮기기 위해선, 애플의 경우 전체 공급망의 10%를 미국으로 이전하는 데만 약 300억 달러가 투입돼야 하며 이전 기간에는 약 3년 정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 또한 인건비 등 문제로 인해 미국 내 생산은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입장을 바꾸지 않는다면 현실적으로 기업이 취할 수 있는 조치는 가격 인상뿐이다. 업계는 관세가 부과될 경우 삼성전자가 미국 내 스마트폰 가격을 30~40% 상향 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