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가 런천 세션을 통해 위탁개발 서비스 경쟁력을 알렸다.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1042/art_17606097339571_7d286a.jpg)
【 청년일보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국내 최대 제약·바이오 종합 박람회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5(BIX 2025)'에 참가해 우수한 CDO 서비스 경쟁력을 적극 알렸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BIX 2025 콘퍼런스에서 16일 '신약개발 가속화: 개발 가능성 평가부터 IND 제출까지'를 주제로 런천 세션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를 맡은 이태희 항체배양PD팀장(상무)은 "▲초기 단계 개발 가능성 평가 ▲리스크 기반의 화학·제조·품질관리(CMC) 계획 수립 ▲병렬 워크플로우 도입 등으로 품질 저하 없이도 개발 과정의 복잡성은 줄이고, 개발 속도는 높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항체의약품의 후보물질 선별부터 임상시험계획 승인신청(IND)까지 소요기간을 업계 표준 10개월 대비 짧은 8개월 수준으로 단축했다"고 강조했다.
또 이태희 상무는 "고객사의 개발 타임라인은 가속화하는 동시에 리스크는 최소화할 수 있는 총 9개의 플랫폼을 통해 고객사의 다양한 수요에 적극 대응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자체 세포주 플랫폼 '에스-초이스(S-CHOice)'를 비롯해 ▲고농도 바이오의약품 개발 지원 플랫폼 '에스-텐시파이(S-Tensify)' ▲고농도 제형 개발 플랫폼 '에스-하이콘(S-HiCon)' 등까지 총 9개의 플랫폼을 출시했다.
이들 플랫폼은 후기 발굴 단계부터 배양·정제 등 생산과정과 제형 개발까지 의약품 개발 여정의 중요 지점마다 적재적소에서 고객사의 신약 개발을 돕고 있다.
이태희 상무는 "연내에 자체 마스터 세포은행(MCB)까지 구축되면 개발 타임라인이 더 단축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축적된 트랙 레코드에 기반한 고객 맞춤형 전략으로 고객사가 신약 개발 중 마주할 수 있는 난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게 돕겠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CDO 사업은 '민첩성, 유연성, 고객 중심(Agile. Flexible. Focused on You)'의 브랜드를 기반으로 올해 상반기까지 총 146건의 수주에 성공하며 꾸준히 성과를 내오고 있다.
최근에는 '삼성 오가노이드(Samsung Organoids)' 서비스를 론칭하며, CDO와 CMO를 넘어 초기 발굴 단계인 임상시험수탁(CRO) 서비스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하는 위탁연구개발생산(CRDMO) 전략도 내놨다. 의약품 개발 초기 단계부터 고객사와 협력을 시작함으로써 '조기 록인(lock-in)' 효과를 거둔다는 구상이다.
【 청년일보=김민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