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청년人] '희망·행복' 상실한 2030세대···'청년365' 조용술 대표의 시선

취업난 장기화·주거 문제 만연···청년들, 자조적 용어 일상화
‘소통·나눔·지속’ 가치 지향 ‘청년365’···2030세대 목소리 대변
‘일자리·교육·주거·노동·결혼’···청년 사회 보편적 문제 ‘고착화’
“청년들, '희망·행복 단어 실종···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직결”
“막대한 재정 투입 행복으로 직결된다는 접근방식 탈피해야”
“연금고갈 가속화 '구조개혁' 공감···낡은 정치적 논리 벗어나야”
“정치권 갈등·싸움, 청년들에 절망 안겨···현실적 방안 강구 시급”

 

【청년일보】 현재 대한민국 2030 청년 세대들 사이에선 흔히 ‘헬조선’, ‘n포세대’ 같은 비관적 용어가 일상적으로 쓰이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기존 X세대(1960년대와 1970년대 베이비붐 세대 이후에 태어난 세대 의미)와 비교했을 때 이전보다 사회·경제적인 차원에서 더욱 각박한 삶을 겪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대다수 청년들의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를 풀기 위한 사회적 공론의 장과 정책 대안의 부재가 이들을 더욱 뼈아프게 한다.

 

이를 기반으로 청년들의 관점에서 깊이 있게 고찰하고, 청년들의 진지한 고민과 공유를 통해 실천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단체가 있어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소통’, ‘나눔’, ‘지속’의 가치를 지향하는 ‘청년365’가 그 중심이다.

 

국내 사회 고질적 문제점 당면···”청년 목소리 대변 취지에서 단체 설립”

 

여기서 ‘청년365’란 의미는 1년 365일 청년들이 건강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보자는 조용술 대표의 간절한 소망에서부터 출발했다. 운영위원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곳에 거쳐간 인원만 해도 무려 1000여명 가까이 달한다.   

 

상암동 인근 사무실에서 기자와 만난 조 대표는 10년 넘게 단체 활동을 이끄는 리더의 면모를 느낄 수 있었다. 조 대표는 조직의 구성 및 활동 내용과 관련된 기자의 질문에 답변하고 ‘청년 대변인’ 한 사람으로서 우리 사회에 당면한 문제를 크게 일자리와 교육 및 주거 그리고 노동과 결혼, 보육 등 6가지로 구분했다.

 

먼저 조 대표는 “기존에는 소위 말하는 이념적(운동권) 청년운동이 1기였다면 2기는 생활문제를 해소하고 변화될 미래를 이야기하는 단체로 생각해주시면 된다”고 운을 뗐다.

 

또한 “2030 젊은 세대들에게 있어 일자리, 교육, 주거, 노동, 결혼·보육 등 6가지가 보편적인 문제로 자리매김한 상황이다”면서 “사실 단체를 설립한 이유도 이러한 고질적인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청년들의 목소리를 대변하자는 취지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세계 10위권에 속하는 경제대국으로 크게 부상한 지 오래다. 조 대표는 앞으로도 한국경제가 더욱 성장 발전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지만 여기엔 몇 가지 모순이 있다고 꼬집었다. 바로 OECD 국가들 중 자살률 1위, 세계 행복지수 최하위라는 오명(汚名)을 떠안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 조 대표는 “세계 경제적 대국임에도 우리나라의 자살률이 세계 1등이라는 통계적 수치가 나온 지 한참 됐다”면서 “최근 2~3년간 전체 하락세를 보였지만 10·20대 청년들의 자살률은 되레 증가한 실상이다”고 말했다.

 

이어 “근본적인 원인을 두 가지로 보는데 바로 ‘행복’과 ‘희망’이 없다는 점이다”면서 “특히 청년들은 취업, 주거 문제나 경제적 양극화를 맞닥뜨린 어려움 속에서 결국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아프리카 등 저개발 국가들 중에 한국보다 행복지수가 높은 경우가 상당하다”면서 “실제로 행복지수와 자살율이 연동된다는 점도 눈여겨 봐야할 사실이다”고 덧붙였다.

 

조 대표는 인터뷰 도중 ‘요람에서 무덤까지’ 복지국가로 상징되어 있는 스웨덴을 예시로 들었다. 이는 사람이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는 순간까지 국가에서 보호하고 돌본다는 의미로 쓰인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스웨덴과 달리 국가가 모든 책임을 개인에게 떠넘긴다는 점을 들면서 과연 많은 사람들이 행복으로 직결될 지 의문점을 제기했다.

 

조 대표는 “단순히 막대하게 돈을 투입하면 행복할 것이란 낡은 접근방식을 탈피해야 한다”면서 “국민 4대의무 중 납세의 의무라는 것이 있는데 국가가 돈을 징수하면 그만큼 미래 세대 주역인 청년들에 대한 투자도 유연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무만 쥐어주는 것이 아니라 권리도 함께 주어지면 자연스럽게 행복지수는 올라갈 것이다”고 부연했다.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연금개혁’ 문제···”미래 청년세대 위한 절실한 과제”

 

최근 청년들과 정치권 안팎에서는 연금개혁에 대한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앞서 지난 20대 대선 후보 토론 당시에도 국민연금 개혁은 '청년을 위한 정책'이라고 공언한 만큼 중요한 이슈로 부각된 지 오래다.

 

지난 1월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발표한 보고서 내용에 따르면 현재의 국민연금 체계를 유지할 경우 오는 2055년에 국민연금 수령자격(2033년부터 만 65세 수급개시)이 생기는 1990년생부터 국민연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할 수도 있다.

 

가파른 고령화 속도와 노인빈곤 문제, 국민연금 고갈 우려 등을 고려할 때 조속히 연금제도 개혁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자칫 막대한 세부담이 미래 세대에 전가될 것이란 볼멘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이에 조 대표도 미래 청년세대를 위해선 반드시 연금개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조 대표는 “이러한 추세가 계속 유지된다면 연간 마이너스 수익률이 우려되고 적립금 고갈 시기는 최대한 앞당겨질 것이다”면서 “정치적 논리에 입각하지 말고 미래를 책임진다는 ‘일념’ 하나로 개혁 추진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끝으로 조 대표는 정치권에서 현실적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더군다나 청년들에게도 작은 것으로 일희일비(一喜一悲)하지 않고 전체적인 삶에 대한 미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며 인터뷰를 끝맺었다.

 

조 대표는 “지속되는 정치권 내 갈등과 싸움은 청년들에게 절망과 실망감만 안겨줄 뿐이다”면서 “정치가 삶의 현장을 대변했으면 하는 바람이 크고 청년층 표심을 겨냥한 단편적 포퓰리즘이 아닌 진정으로 청년들을 위한 정책들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