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가구 중 무주택 비중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주택 소유율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30대 가구주 4명 중 1명만이 집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 감소와 1인 가구 증가라는 인구 구조적 변화와 함께, 서울의 높은 집값과 대출 규제 강화가 사회 초년생들의 주거 사다리를 끊어놓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국가데이터처(구 통계청)가 발표한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거주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천729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1만7천215가구 증가한 수치로, 201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규모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5천여 가구에서 2018년 45만6천여 가구까지 감소했으나, 이듬해부터 반등해 6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증가 폭은 2021년 3천 가구 수준에서 2022년 1만5천 가구, 지난해에는 1만7천 가구대로 확대되며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렸다.
반면 내 집을 가진 서울의 30대는 3년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서울 30대 주택 소유 가구는 18만3천456가구로 전년보다 7천893가구 줄었다.
무주택 가구 수가 주택 소유 가구의 약 2.9배에 달하며 그 격차 또한 역대 가장 큰 수준으로 벌어졌다. 서울 30대 주택 소유 가구는 2023년 이미 20만 선이 붕괴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서울 30대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25.8%를 기록했다.
2015년 33.3%였던 소유율은 등락을 거듭하다 지난해 25%대까지 내려앉았다.
이는 전국 30대 주택 소유율인 36.0%와 비교해도 10%포인트 이상 낮은 수치로 서울의 높은 주거 비용 부담이 청년층의 자가 마련을 가로막는 주요 원인임을 시사한다.
데이터처 관계자는 취업과 결혼 시기가 늦어지고 서울 내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점을 주택 소유율 하락의 원인으로 꼽았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정책과 대출 규제가 주택시장 진입장벽을 높였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그럼에도 청년층의 내 집 마련 의지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주택연구원이 지난달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만 19∼39세 청년 무주택 1인 가구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83.2%가 '향후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주거 안정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주택 구입자금 지원'(24.3%)을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전세자금 지원'(22.3%), '공공임대주택 공급'(18.6%), '공공분양주택 공급'(14.4%) 등이 뒤를 이었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