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2.9℃
  • 맑음강릉 16.1℃
  • 맑음서울 14.1℃
  • 박무대전 12.6℃
  • 맑음대구 14.0℃
  • 맑음울산 17.6℃
  • 맑음광주 15.7℃
  • 맑음부산 20.5℃
  • 맑음고창 15.3℃
  • 구름조금제주 20.4℃
  • 맑음강화 14.1℃
  • 맑음보은 10.7℃
  • 맑음금산 9.9℃
  • 맑음강진군 17.2℃
  • 맑음경주시 15.8℃
  • 맑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10·15 규제에도 "내년 집값 오른다" 52%…불안 심리 여전

부동산R114 설문에서 '상승' 전망...2021년 하반기 이후 최고치
"핵심지 상승·공급 부족" 주원인…전·월세 상승 전망 60% 육박

 

【 청년일보 】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통해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을 규제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음에도, 내년 상반기 주택 가격 상승을 예상하는 전망이 과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부동산R114가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2일까지 전국 1천458명을 대상으로 '2026년 상반기 주택시장 전망'을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52%가 '상승'을 택했다. 이는 2021년 하반기(62%)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반면 '하락' 응답은 14%에 그쳤으며, '보합'은 34%로 집계됐다.

 

매매가 상승을 전망한 이유로는 '핵심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35.37%)이 첫손에 꼽혔다.

 

이어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12.63%), '서울 등 주요 도심 공급 부족 심화'(10.9%), '정부 규제로 인한 매물 잠김'(8.91%) 등이 뒤를 이었다.

 

부동산R114는 현 정부의 6·27 대책부터 10·15 대책까지 강력한 수요 억제 조치가 이어졌음에도, 서울과 수도권 핵심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경신 현상이 나타나며 수요자의 불안 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했다.

 

반대로 가격 하락을 예상한 응답자들은 '대출규제로 인한 매수세 약화'(38.16%)를 가장 큰 이유로 들었다.

 

'경기침체 가능성'(15.94%), '대출금리 부담'(10.63%) 등도 주요 하락 요인으로 지목됐다.

 

 

임대차 시장에서는 상승 전망이 더욱 우세했다.

 

전세 가격은 응답자의 57.75%가, 월세 가격은 60.91%가 오를 것으로 내다봤으며, 전세 가격 상승 이유로는 '매수심리 위축에 따른 전세 수요 증가'(34.8%) 응답이 가장 많았다.

 

강화된 대출 규제로 매매 대신 전세에 머무는 수요가 늘어 가격을 밀어 올릴 것이란 분석이다.

 

이외에도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인한 전세 공급 부족'(23.75%), '서울 등 인기지역 입주물량 부족'(14.73%) 등이 전셋값 상승 요인으로 꼽혔다.

 

한편, 내년 상반기 부동산 시장의 핵심 변수로는 '대출·세금 등 규제 환경 변화'(17.01%)가 1순위로 꼽혔다. '국내외 경기 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 여건'(16.8%),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및 인하 여부'(14.75%)가 그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2.57%포인트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