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지난 5년간 응급실 부족으로 인해 환자 응급실 재이송이 전국적으로 3만7천건 넘게 발생하였다. 지난해에는 응급실 뺑뺑이가 7천634건 발생했다. 응급실 뺑뺑이의 가장 큰 이유는 병상이나 전문의가 없다는 이유다.
응급실 뺑뺑이는 외과, 응급, 심뇌혈관, 소아 등 필수의료 인력부족과 중환자실 과밀화로 인한 병상부족이 주된 원인이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응급실 뺑뺑이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의사와 병상부족 문제를 단시일에 해결 하기에 결코 쉽지 않다.
의료진이 부족한 것도 문제지만 경증 환자가 병상을 차지 하고 있는 것도 문제다. 경증환자는 응급실 이용을 자제 해야 하는데, 평일 야간이나 휴일에 문을 여는 병원이 거의 없기때문에 응급실을 찾는 현상이 반복된다. 시에서는 야간에 운영하는 달빛어린이 병원 등을 확충하려고 노력하지만 잘 알려지지 않고 선호율이 낮아 참여율이 저조한 상태이다.
성인 환자의 경우에도 대학병원 응급실을 선호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부산의 한 구급대원은 "환자가 발생하면 검사하기 전까지 경증, 중증을 판단하기 어렵다. 환자 대부분이 대학병원에 가 달라고 하는 실정이고, 진료선택권을 언급하면 거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31일 국민의힘과 정부는 당정 협의를 거쳐 "응급실 과밀화를 해소하기 위해 경증 환자의 대형병원 응급실 이용을 제한하겠다"고 발표했다.
현재 '경증환자의 대형병원 응급실 이용 제한'에 대해 시범사업이 좌초하고, 지역응급의료상황실이 환자 이송 총괄관리할 것을 주장했지만 필요인력과 규모, 운영 주체가 미정된 상태이다. 또, 빈 병상 및 수술 의사 현황을 실시간 업데이트할 것을 내세웠지만 인력이 미정이고 지원방식과 규모 또한 준비된 바가 없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3월 제4차 응급의료기본계획에서 경증, 중증 응급실을 따로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정에서 제시한 응급실 이용 제한대책은 4개중에 3개가 재탕됐고, 경증환자에겐 비싼 치료비를 물리고, 지역 응급상황실 예산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며 이견 조율 컨트롤 타워가 시급하다는 모호하고 중복되는 주장을 내세웠다.
응급의료 대책이 제대로 실행되려면 정부가 과거 대책이 좌절된 이유를 철저히 분석하고, 설사 정책 대상자의 반발이 따르더라도 과감한 실행 의지를 보여야 한다. 응급환자가 표류하는 일이 없고 제대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의 꾸준한 관심과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 시급하다.
【 청년서포터즈 6기 오수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