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허민 국가유산청장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宗廟) 맞은편 세운4구역에 고층 건물이 들어설 경우 "위험에 처한 유산"에 오르거나 등재가 취소될 여지도 있다고 말했다.
허 청장은 전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출석해, 서울시가 종묘 맞은편 재개발 사업지인 세운4구역의 높이 계획을 최근 변경한 것에 대해 조국혁신당 김재원 의원이 의견을 묻자 "실로 깊은 유감"이라며 이같이 답했다.
그는 '서울시가 개발 공사를 강행한다면 어떻게 되냐'는 물음에 "(등재가) 취소될 가능성도 없지 않아 있다"고 말했다. 허 청장이 세운4구역 재개발이 세계유산인 종묘에 미칠 영향에 관해 직접 입장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시는 지난달 30일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및 4구역 재정비촉진계획 결정(변경) 및 지형도면'을 고시했다. 이에 따라 기존 종로변 55m, 청계천변 71.9m로 정해져 있던 건물 높이가 최고 101∼145m로 변경된다. 청계천변 기준으로는 배에 가까운 수치다.
허 청장은 "국가유산청은 2006년부터 서울시에 공문을 보내고, 회의를 거치면서 (세계유산영향평가를 받으라는) 유네스코 권고안을 따르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서울시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기간에 기습적으로 39층, 40층을 올린다고 변경 고시를 냈다"며 세계유산인 종묘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서울시가 변경된 고시를 바탕으로 "국가유산청과 유네스코의 권고를 무시하고 건축을 강행하면 세계유산 지위가 어떻게 되겠냐"고 지적했다.
허 청장은 "미래 세대에게 세계유산을 물려줄 것인지, 아니면 콘크리트 빌딩을 물려줄 것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며 "100m, 180m, 혹은 그늘이 있냐 없냐가 아니라 국민과 함께 (미래 세대에게) 무엇을 물려주느냐 하는 부분"을 살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김 의원은 내년 7월 부산에서 세계유산 등재를 결정하는 위원회가 열리는 것을 거론하며 "한 점 부끄럼이 없도록 가능한 수단을 동원해달라"고 허 청장에게 대응책 마련을 주문했다.
종묘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역대 왕과 왕비, 황제와 황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국가 사당으로 199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과 더불어 한국의 첫 세계유산이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유네스코는 종묘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당시 '세계유산 구역 내 경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근 지역에서의 고층 건물 인허가는 없음을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